타인의 삶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인의 삶'은 2006년에 개봉한 독일 영화로, 동독의 비밀경찰 슈타지가 극작가와 그의 연인을 감시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슈타지의 베테랑 심문관 게르트 비즐러, 극작가 게오르그 드라이만, 그의 연인이자 배우인 크리스타마리아 지엘란트 등이 있다. 줄거리는 비즐러가 드라이만을 감시하는 과정에서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진실을 묵인하며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의 이야기와 함께 비즐러가 드라이만의 소설에 헌정된 것을 발견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영화는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아카데미 국제 장편 영화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 영화는 2013년 대량 감시 폭로 사건과 관련된 정치 시위에서 언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존 보인이 2006년에 발표한 소설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은 홀로코스트를 배경으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소장의 아들 브루노와 유대인 소년 슈무엘의 우정을 그린 작품으로, 어린이 시각으로 홀로코스트를 다루어 도덕적 메시지에 집중한 우화로 평가받지만 역사적 부정확성과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영화, 발레, 오페라 등으로 각색되었고 속편도 출판되었다. - 독일의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굿바이 레닌
《굿바이 레닌!》은 동독 붕괴 후 사회주의 신념을 가진 어머니를 위해 아들이 가짜 동독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독일의 첩보 영화 - 루니 툰: 백 인 액션
2003년 개봉한 영화 《루니 툰: 백 인 액션》은 조 단테 감독의 실사와 애니메이션 결합 코미디로, 워너 브라더스에서 해고된 대피 덕과 스턴트 배우 지망생 DJ 드레이크가 파란 원숭이 다이아몬드를 찾는 과정에서 ACME 주식회사의 음모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리며 브랜던 프레이저, 제나 엘프먼, 스티브 마틴 등이 출연하고 벅스 버니, 대피 덕 등 루니 툰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 독일의 첩보 영화 - 스톰브레이커
2006년 개봉한 스톰브레이커는 앤서니 호로비츠의 소설 《알렉스 라이더》 시리즈를 원작으로, 14세 소년 스파이 알렉스 라이더가 억만장자의 음모를 막기 위해 MI6에 고용되어 활약하는 액션 스파이 영화다. - 베를린 장벽을 소재로 한 영화 - 굿바이 레닌
《굿바이 레닌!》은 동독 붕괴 후 사회주의 신념을 가진 어머니를 위해 아들이 가짜 동독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베를린 장벽을 소재로 한 영화 - 아토믹 블론드
아토믹 블론드는 1989년 베를린을 배경으로 MI6 요원이 살해된 동료의 복수와 소련 측 스파이 명단을 되찾기 위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2017년 액션 스파이 영화로, 샤를리즈 테론, 제임스 매커보이 등이 출연하며 스타일리시한 액션과 1980년대 음악, 복잡한 스토리로 호평받았다.
타인의 삶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Das Leben der Anderen |
로마자 표기 | Das Leben der Anderen |
다른 제목 | 善き人のためのソナタ (요키 히토노 타메노 소나타, 일본어) |
감독 |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
제작자 | 막스 비데만 퀴린 베르크 |
각본가 |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
출연 | 울리히 뮈헤 마르티나 게데크 제바스티안 코흐 울리히 투쿠르 |
음악 | 가브리엘 야레 스테파느 무샤 |
촬영 감독 | 하겐 보그단스키 |
편집자 | 패트리샤 롬멜 |
제작사 | Wiedemann & Berg Filmproduktion |
배급사 | Buena Vista International 알바트로스 필름 |
개봉일 | 2006년 3월 23일 |
상영 시간 | 137분 |
제작 국가 | 독일 |
언어 | 독일어 |
제작비 | 2백만 달러 |
흥행 수익 | 7735만6942달러 |
영화 정보 | |
영화 종류 | 극영화 |
2. 등장인물
영화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주요 인물은 === 주요 인물 ===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그 외의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1]
- '''헤르베르트 크나우프''' - 그레고르 헤센슈타인 역, ''슈피겔''(Der Spiegel) 기자
- '''찰리 휘브너''' - 우도 레베 역, 비즐러의 야간 근무자.
- '''바스티안 트로스트''' - 수감자 227 역.
- '''마리 그루버''' - 마이네케 부인 역, 이웃.
- Volker Michalowskide - 타자기 전문가
- 베르너 데른 - 집 수색 담당 슈타지 (Stasi) 장교
- 히네르크 쇠네만 - 악셀 슈티글러 역, 슈타지 유머 담당. 호네커의장에 관한 농담을 한 청년으로 나중에 좌천됨.
- 가비 플레밍 - 매춘부 "우테" (Ute) 역
- '''루드비히 블로흐베르거''' - 베네딕트 레만 역, 비즐러의 학생
다음은 한국어 더빙 성우 목록이다.[1]
2. 1. 주요 인물
역할 | 배우 (원본) | 배우 (한국어 더빙) | 배우 (일본어 더빙) |
---|---|---|---|
게르트 비즐러 대위 (Hauptmann Gerd Wieslerde) | 울리히 뮈헤 | 최한 | 이시즈카 운쇼 |
크리스타마리아 지엘란트 (Christa-Maria Sielandde) | 마르티나 게데크 | 윤성혜 | 하기오 미도리 |
게오르크 드라이만 (Georg Dreymande) | 세바스티안 코치 | 구자형 | 하기와라 류코 |
안톤 그루비츠 중령 (Oberstleutnant Anton Grubitzde) | 울리히 투쿠르 | 이종혁 | 키타가와 카츠히로 |
브루노 헴프 장관 (Minister Bruno Hempfde) | 토마스 티에메 | 최석필 | 무기 히토 |
파울 하우저 (Paul Hauserde) | 한스-우베 바우어영어 | 김호성 | 오오하시 고로 |
알베르트 예르스카 (Albert Jerskade) | 폴크마어 클라이네르트영어 | 김태훈 | 코가타 만 |
카를 발너 (Karl Wallnerde) | 마티아스 브레너영어 | 이상범 | 엔도 준이치 |
그레고르 헤센슈타인 (Gregor Hessensteinde) | 헤르베르트 크나우프 | 송준석 | |
우도 레베 (Udo Levehde) | 찰리 휘브너 | 방성준 | |
수감자 227 (Häftling 227de) | 바스티안 트로스트 | 이원찬 | |
마이네케 부인 (Frau Meinekede) | 마리 그루버 | 유상우 | |
타자기 전문가 | Volker Michalowskide | ||
집 수색 담당 슈타지 (Stasi) 장교 | 베르너 데른 | ||
악셀 슈티글러 (Axel Stieglerde) 소위 | 힌넬크 셰네만 | 정재헌 | |
"우테"(Ute) | 가비 플레밍 | ||
베네딕트 레만 (Benedikt Lehmannde) | 루드비히 블로흐베르거 | 양준건 |
2. 2. 주변 인물
- '''울리히 뮈헤''' - 게르트 비즐러 역, 슈타지의 베테랑 심문관.
- '''마르티나 게데크''' - 크리스타마리아 지엘란트 역, 인기 여배우.
- '''세바스티안 코치''' - 게오르그 드라이만 역, 극작가. 크리스타의 동거 연인.
- '''울리히 투쿠어''' - 안톤 그루비츠 역, 게르트의 옛 친구이자 상사.
- '''토마스 티에메''' - 브루노 헴프 장관 역, 크리스타에게 집착하여 게오르크의 감시를 명령.
- '''한스-우베 바우어''' - 파울 하우저 역, 게오르크의 연극 동료, 반체제 활동가.
- '''폴크마르 클라이네르트''' - 알베르트 예르스카 역, 활동이 금지된 저명한 무대 연출가.
- '''마티아스 브레너''' - 카를 발너 역, 게오르크의 연극 동료.
- '''헤르베르트 크나우프''' - 그레고르 헤센슈타인 역, ''슈피겔''(Der Spiegel) 기자
- '''찰리 휘브너''' - 우도 레베 역, 비즐러의 야간 근무자.
- '''바스티안 트로스트''' - 수감자 227 역.
- '''마리 그루버''' - 마이네케 부인 역, 이웃.
- Volker Michalowskide - 타자기 전문가
- 베르너 데른 - 집 수색 담당 슈타지 (Stasi) 장교
- 히네르크 쇠네만 - 악셀 슈티글러 역, 슈타지 유머 담당, 호네커의장에 관한 농담을 한 청년으로 나중에 좌천됨.
- 가비 플레밍 - 매춘부 "우테" (Ute) 역
- '''루드비히 블로흐베르거''' - 베네딕트 레만 역, 비즐러의 학생
한국어 더빙 성우[1]
- 최한 - 비즐러 (울리히 뮈헤)
- 구자형 - 드라이만 (세바스티안 코치)
- 윤성혜 - 크리스타 (마르티나 게데크)
- 이종혁 - 안톤 그루비츠 (울리히 터커)
- 최석필 - 브루노 헴프 장관 (토마스 디엠)
- 김호성 - 파울 하우저 (한스 우베 바우어)
- 김태훈 - 알베르트 예르스카 (볼크마르 클라이네르트) / 장관
- 송준석 - 그레고르 헤센슈타인 (헤르베르트 크나우프) / 아나운서
- 이상범 - 칼 (마티아스 브레너)
- 정재헌 - 학생 (하이네르크 슈네만)
- 이원찬 - 죄수 (바스티안 트로스트)
- 방성준 - 우도 (찰리 휘브너)
- 양준건 - 학생 (루트비히 블로흐베르거)
- 유상우 - 이웃집 아줌마 (마리 그루버)
3. 줄거리
1986년 동독 정부는 비밀경찰인 슈타지를 이용해 국민들을 철저히 감시하고 있었다. 슈타지는 10만 명의 직원과 20만 명의 정보원을 통해 국민들을 감시했으며, 이는 동독 국민 4명당 1명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슈타지 소속 게어트 비즐러 대위는 상관인 안톤 그루비츠 중령으로부터 유명 극작가인 게오르기 드라이만을 감시하라는 임무를 받는다. 비즐러는 드라이만의 집 다락에 감청 장비를 설치하고 그의 사생활을 감시한다.
비즐러는 드라이만을 감시하면서, 그를 감시하는 진짜 이유가 드라이만의 사상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문화부 장관 브루노 헴프는 드라이만의 애인 크리스타 마리아 지랜드를 탐내 슈타지의 인맥을 이용해 드라이만을 제거하려 하고 있었다. 비즐러는 드라이만과 크리스타의 관계, 그리고 크리스타가 장관과 성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크리스타는 배우 경력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장관과 관계를 맺고 있었고, 비즐러는 드라이만에게 이 사실을 간접적으로 알린다. 이후 술집에서 만난 크리스타에게 "당신은 이미 위대한 예술가이니, 그것을 핑계로 당신이 아닌 것을 하지 말라"고 충고한다.
드라이만의 친구 예스카가 블랙리스트에 오른 후 자살하자, 드라이만은 서독의 슈피겔지에 동독의 현실을 폭로하는 기사를 기고하기로 결심한다. 비즐러는 이 사실을 알고도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드라이만의 행동을 은폐한다.
서독 잡지에 기사가 실리자 동독 정부는 분노하고, 슈타지는 크리스타를 협박해 드라이만이 기사를 썼음을 알아낸다. 비즐러는 크리스타를 심문해 타자기 위치를 알아내지만, 슈타지가 드라이만의 집을 수색했을 때 타자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크리스타는 죄책감에 자살하고, 비즐러는 드라이만을 보호하려다 발각되어 한직으로 좌천된다.
3. 1. 감시의 시작
1984년 동독, 슈타지 ''하우프트만''(대위) 게르트 비즐러(암호명 HGW XX/7)는 친구이자 상관인 안톤 그루비츠 중령의 명령에 따라 극작가 게오르크 드라이만을 감시하게 된다. 드라이만은 공산주의에 우호적인 정치 성향과 국제적인 명성으로 인해 그동안 국가의 직접적인 감시를 받지 않았다. 비즐러는 드라이만이 모범적인 동독 시민으로 보이는 것에 당혹스러워한다. 극작가에게는 알려진 악습이나 불충, 반항의 기록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문화부 장관 브루노 헴프의 요청에 따라 비즐러와 그의 팀은 드라이만의 아파트에 도청 장치를 설치하고, 감시 장비를 배치하여 드라이만의 활동을 보고한다. 비즐러는 헴프가 드라이만을 감시하는 이유가 불충이나 반항에 대한 의혹 때문이 아니라, 드라이만의 여자친구이자 배우인 크리스타-마리아 질란에게 개인적인 관심을 품고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고 실망한다.[1] 비즐러의 개입으로 드라이만이 질란과 헴프의 관계를 알게 된 후, 드라이만은 질란에게 다시는 그를 만나지 말고 자신에게 진실하라고 간청한다. 그녀는 드라이만과 화해한다.[2]드라이만의 친구인 알베르트 예르스카는 블랙리스트에 오른 연극 연출가인데, 그에게 ''Sonate vom Guten Menschen''(좋은 사람에 관한 소나타)의 악보를 건넨다. 얼마 지나지 않아 예르스카는 목을 매 자살한다. 드라이만은 동독이 1977년 이후 자살률을 발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서방 언론에 기사를 게재하기로 결심한다. 아파트에 도청 장치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드라이만과 그의 친구들은 탈출 시도를 가장한다. 동정심이 많은 비즐러는 이를 보고하지 않았고, 공모자들은 안전하다고 믿는다. 모든 동독 타자기는 등록되어 식별이 가능했기에, 서독 유력 주간지 ''슈피겔''의 편집자는 드라이만에게 초슬림 타자기인 그로마 뷔로마시넨 콜리브리를 밀수해 주고, 그는 이를 마룻바닥 아래 숨긴다. 타자기에는 빨간 리본만 있었고, 그것이 그의 손가락에 얼룩을 남겼다.[2]
3. 2. 내면의 변화
1984년 동베를린. 슈타지 요원 비즐러 대위는 극작가 드라이만과 그의 연인 크리스타를 감시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드라이만의 아파트에 도청 장치가 설치되고, 비즐러는 철저한 감시를 시작한다. 하지만, 비즐러는 드라이만과 크리스타의 삶, 특히 두 사람의 깊은 사랑에 점차 공감하게 된다.드라이만의 친구인 알베르트 예스카가 블랙리스트에 오른 후 자살하자, 드라이만은 서독의 슈피겔지에 동독의 현실을 폭로하는 기사를 기고하기로 결심한다. 비즐러는 이 사실을 알고도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드라이만의 행동을 은폐한다.
비즐러는 드라이만의 생활을 지켜보면서 그동안 자신이 얼마나 공허한 인생을 살아왔는지를 깨닫게 된다. 특히, 예스카의 죽음 이후 드라이만이 연주하는 "선한 사람을 위한 소나타"를 듣고 비즐러는 감동의 눈물을 흘리며, 자신의 신념과 행동에 대해 깊이 성찰하게 된다. 그는 점점 인간적인 성격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3. 3. 진실 폭로와 갈등
비슬러는 드라이만을 감시하면서, 그를 감시하는 진짜 이유가 사상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문화부 장관 브루노 헴프는 드라이만의 애인 크리스타 마리아 지랜드를 탐내 슈타지의 인맥을 이용해 드라이만을 제거하려 하고 있었다. 비슬러는 드라이만과 크리스타의 관계, 그리고 크리스타가 장관과 성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크리스타는 배우 경력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장관과 관계를 맺고 있었고, 비슬러는 드라이만에게 이 사실을 간접적으로 알린다.비슬러는 자신이 하는 일에 회의를 느끼고, 드라이만의 생일 파티에서 친구 예스카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듣고 드라이만이 연주하는 "선한 사람을 위한 소나타"를 들으며 눈물을 흘린다. 드라이만은 동독의 현실을 슈피겔에 폭로하기로 결심하고, 비슬러는 이를 묵인하며 거짓 보고를 한다.
서독 잡지에 기사가 실리자 동독 정부는 분노하고, 슈타지는 크리스타를 협박해 드라이만이 기사를 썼음을 알아낸다. 비슬러는 크리스타를 심문해 타자기 위치를 알아내지만, 슈타지가 드라이만의 집을 수색했을 때 타자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크리스타는 죄책감에 자살하고, 비슬러는 드라이만을 보호하려다 발각되어 한직으로 좌천된다.
3. 4. 베를린 장벽 붕괴와 재회
4 Jahre und 8 Monate später|4년 8개월 후de 비즐러는 편지를 검열하던 중 같이 일하던 동료로부터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는다.[1] 비즐러는 슈타지의 권력이 사실상 끝났음을 직감하고 편지를 검열하는 일을 그만두고 어디론가 떠난다.[1]2년 뒤, 독일은 통일되었고, 드라이만은 극작가로 일하고 있다.[1] 하지만 드라이만은 애인의 죽음에 대한 후유증으로 닥친 슬럼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었다.[1] 어느 날 드라이만은 우연히 문화부 장관이었던 헴프를 만나게 된다.[1] 드라이만이 문화부 장관에게 자신을 감시하지 않았느냐고 묻자, 문화부 장관은 다른 누구보다 그를 철저히 감시했었으나 결국 증거를 포착하지 못했고 그 상태로 감시를 끝냈다고 말한다.[1] 자신을 도청했다는 문화부 장관의 말에 드라이만은 집에 숨겨져 있던 감청 장치를 발견하고, 자신이 철저히 감시당하고 있었던 상태라는 것을 알게 된다.[1] 드라이만은 슈타지가 왜 자신을 감시했으면서 타자기를 숨기는 일을 눈치채지 못했는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1] 옛 슈타지 본부를 찾아가 자신에 대한 보고서를 읽은 드라이만은 크리스타가 자신의 타자기를 숨기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 드라이만은 자신을 감시한 요원(HGW/XX7)의 지문을 보고, 그가 의도적으로 드라이만을 보호했음을 깨달았다.[1] 드라이만은 자신을 감시한 사람이 비즐러임을 알고 그를 찾아가지만, 이미 비즐러는 슈타지를 그만둔 이후 우편배달부로 살아가고 있었다.[1] 드라이만은 비즐러에게 선뜻 다가서지 못하고 가버린다.[1]
다시 2년의 시간이 흐르고, 비즐러는 편지를 담은 수레를 몰고 서점 앞을 걸어가다가 드라이만의 새 소설인 "선한 사람을 위한 소나타"를 발견한다.[1] 서점으로 들어간 그는 드라이만의 소설을 펼치고, 소설에는 '이 책을 'HGW/XX7'에게 바칩니다.'라는 문구를 발견한다.[1] 비즐러는 책을 들고 와 계산대 앞에 서고, 선물로 포장할 것이냐는 점원의 질문에 "아니오. 이 책은 나를 위한 겁니다."라고 대답한다.[1]
3. 5. 새로운 시작
Wende|벤데de 직후, 비즐러는 편지를 검열하던 중 같이 일하던 동료로부터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는다. 비즐러는 슈타지의 권력이 사실상 끝났음을 직감하고 편지를 검열하는 일을 그만두고 어디론가 떠난다.2년 뒤, 독일은 통일되었고, 드라이만은 극작가로 일하고 있다. 하지만 드라이만은 애인의 죽음에 대한 후유증으로 닥친 슬럼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어느 날 드라이만은 우연히 문화부 장관이었던 헴프를 만나게 된다. 드라이만이 문화부 장관에게 자신을 감시하지 않았느냐고 묻자, 문화부 장관은 다른 누구보다 그를 철저히 감시했었으나 결국 증거를 포착하지 못했고 그 상태로 감시를 끝냈다고 말한다. 자신을 도청했다는 문화부 장관의 말에 드라이만은 집에 숨겨져 있던 감청 장치를 발견하고, 자신이 철저히 감시당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드라이만은 슈타지가 왜 자신을 감시했으면서 타자기를 숨기는 일을 눈치채지 못했는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옛 슈타지 본부를 찾아가 자신에 대한 보고서를 읽은 드라이만은 크리스타가 자신의 타자기를 숨기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드라이만은 자신을 감시한 요원(HGW/XX7)의 지문을 보고, 그가 의도적으로 드라이만을 보호했음을 깨달았다. 드라이만은 자신을 감시한 사람이 비즐러임을 알고 그를 찾아가지만, 이미 비즐러는 슈타지를 그만둔 이후 우편 배달부로 살아가고 있었다. 드라이만은 비즐러에게 선뜻 다가서지 못하고 가버린다.
다시 2년의 시간이 흐르고, 비즐러는 편지를 담은 수레를 몰고 서점 앞을 걸어가다가 드라이만의 새 소설인 "선한 사람을 위한 소나타"를 발견한다. 서점으로 들어간 그는 드라이만의 소설을 펼치고, 소설에는 '이 책을 'HGW/XX7'에게 바칩니다.'라는 문구를 발견한다. 비즐러는 책을 들고 와 계산대 앞에 서고, 선물로 포장할 것이냐는 점원의 질문에 "아니오. 이 책은 나를 위한 겁니다."라고 대답한다.
4. 제작
영화의 주요 촬영지는 동베를린이었다. 영화 속 슈타지 본부 건물은 실제 슈타지 본부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현재는 슈타지 문서 보관소로 쓰이고 있다.[4] 인상적인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카를 마르크스 서점은 간판은 그대로지만, 현재는 건축 회사 사무실로 사용 중이다.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감독의 부모는 모두 동독 출신이다. (원래 폰 도너스마르크 가문은 실레지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더 동쪽 출신이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지역은 독일에서 폴란드로 이전되었다.) 그는 베를린 장벽 붕괴 이전 어린 시절 동독을 방문했을 때, 국가의 국민으로서 그들이 느꼈던 공포를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4]
도너스마르크 감독은 영화 수업 시나리오를 구상하던 중 영화의 아이디어가 떠올랐다고 밝혔다. 그는 막심 고리키가 레닌이 가장 좋아하는 곡이 베토벤의 열정 소나타였다고 말한 것을 떠올렸다. 고리키는 레닌과의 대화를 다음과 같이 전했다.
도너스마르크는 ''뉴욕 타임스'' 기자에게 "나는 갑자기 우울한 방에 앉아 헤드폰을 쓰고 자신이 국가의 적이자 자신의 사상의 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듣고 있는데, 실제로 듣는 것은 그를 감동시키는 아름다운 음악이라는 이미지가 떠올랐다. 나는 앉아서 두어 시간 만에 트리트먼트를 썼다."라고 말했다.[41] 시나리오는 그의 삼촌이 있는 하일리겐크로이츠 수도원에서 장기간 머무르면서 쓰여졌다.[5]
영화의 오프닝 장면은 호엔쇤하우젠 감옥(현재는 슈타지 탄압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관)에서 촬영되었지만, 기념관 관장인 후베르투스 크나베는 도너스마르크에게 촬영 허가를 거부하여 영화는 그곳에서 촬영될 수 없었다. 크나베는 "슈타지 요원을 영웅으로 만드는 것"에 반대하며 도너스마르크에게 영화를 변경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도너스마르크는 ''쉰들러 리스트''를 예시로 들며 이러한 줄거리 전개가 가능하다고 주장했지만, 크나베는 "하지만 바로 그게 차이점입니다. 쉰들러가 있었죠. 비즐러는 없었잖아요."라고 답했다.[6]
도너스마르크는 촬영 감독 하겐 보그단스키와 함께 이 이야기를 생생하게 만들었다. 브레히트적인 영화의 회색 색조에 대해 촬영 감독 보그단스키는 당시 동베를린의 거리를 회상하며 "그들은 매우 어두웠습니다. 모든 일은 내부, 사적으로 일어났죠."라고 묘사했다.[7]
5. 평가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동독 사회의 억압적인 분위기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들의 심리 묘사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여러 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퍼스트 씽스에 실린 한 기사에서는 비즐러의 변화를 옹호하는 철학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21] 동독 반체제 작곡가 볼프 비어만은 2006년 3월 ''디 벨트''에 기고한 글에서 "정치적 톤이 진정성이 있고, 줄거리에 감동받았다"라며, 자신의 과거 경험에서 비롯된 듯한 세부 사항들 때문에 감성적으로 설득되었다고 밝혔다.[22]
한편, 독일 작가 크리스토프 하인은 이 영화가 자신의 삶을 바탕으로 느슨하게 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도너스마르크 감독이 2002년에 자신을 인터뷰했고, 시사회 오프닝 크레딧에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하인은 영화 속 사건들이 자신의 경험과 거의 유사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크레딧에서 이름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이 영화는 1980년대 동독이 아니라 톨킨의 중간계와 같은 판타지 세계에서 일어나는 무서운 이야기"라고 평가했다.[24]
5. 1. 비평가들의 찬사
이 영화는 광범위한 호평을 받았다. 영화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는 163개의 리뷰 중 149개가 긍정적이며 평균 평점 8.31/10을 기록하여 92%의 평점을 보고했다.[8] 비평가들은 "더 전통적인 스파이 영화와 달리, '타인의 삶'은 대결을 위해 인물을 희생하지 않으며, (특히 고(故) 울리히 뮤에의 연기는) 당신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라고 평했다.[8] 메타크리틱에서는 39명의 비평가들을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89점을 받았다.[9]''데일리 버라이어티''의 데릭 엘리는 이 영화를 "매우 훌륭하게 캐스팅된 드라마"라고 묘사하며, "배우들 사이의 많은 극적이고 감정적인 요소들의 균형을 침착함과 명확성으로 잘 잡았다"라고 평했다.[10] ''타임''지의 리처드 코리스는 이 영화를 2007년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하나로 선정하여 2위에 올렸고, "감동적이고 불안한 스릴러"라고 칭찬했다.[11][12]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4/4점을 주며, "숨겨진 생각과 비밀스러운 욕망으로 구성된 강력하지만 조용한 영화"라고 묘사했다.[13] ''뉴욕 타임스''에서 이 영화를 리뷰한 A. O. 스콧은 '타인의 삶'이 잘 짜여진 영화라고 언급하며, "서스펜스는 장면의 구성과 속도뿐만 아니라, 억압적인 사회에서도 개인은 자유 의지에 짓눌린다는 느낌에서 더욱 깊이 느껴진다. 당신은 다음 순간에 어떤 등장인물이 어떤 선택을 할지 절대 알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14]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평론가 케네스 투란은 드라마적 긴장감이 "세심하게 구성"된 데서 비롯된다는 데 동의하며, "주요 등장인물들을 재능, 삶, 심지어 영혼까지 걸어야 하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한다"라고 평했다. 이 영화는 "제대로 만들어지면 도덕적, 정치적 딜레마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강렬한 드라마적 딜레마가 될 수 있음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라고 언급했다.[15]
미국 평론가 존 포도레츠는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자, 확실히 이번 10년간 최고의 영화"라고 불렀다.[16] 윌리엄 F. 버클리 주니어는 자신의 칼럼에서 이 영화가 끝나고 "나는 동료에게 '내 생각에 지금까지 본 영화 중 최고인 것 같아'라고 말했다"라고 썼다.[17] ''내셔널 리뷰 온라인''의 존 J. 밀러는 지난 25년간 "최고의 보수 영화" 목록에서 이 영화를 1위로 선정했다.[18]
몇몇 평론가들은 이 영화의 주요 강점 중 하나로 세부 사항을 미묘하게 쌓아 올리는 점을 지적했다. 스테파니 자카렉은 온라인 잡지 ''살롱''에 글을 쓰며, 이 영화는 "감정적 층위 위에 구축"되었다고 평했다.[43] ''오스틴 크로니클''에 글을 쓴 조쉬 로젠블랫은 이 영화를 "절제된 웅장함의 승리"라고 칭했다.[19]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에 글을 쓴 리사 슈워츠바움은 일부 미묘함은 "가장 최소한의 행동으로 가장 긴장된 순간이 펼쳐진다"는 사실 때문이지만, 감독은 여전히 "선택, 두려움, 의심, 비겁함, 영웅심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전달한다"라고 지적했다.[20]
안나 푼더는 책 ''슈타지랜드''의 저자로서, ''가디언''에 게재된 리뷰에서 '타인의 삶'을 현실과 다르지만 "훌륭한 영화"라고 불렀다. 그녀는 슈타지 요원이 상사로부터 정보를 숨기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슈타지 직원들 또한 감시를 받았고 거의 항상 팀으로 활동했기 때문이다.[6]
2016년 BBC 설문 조사에서 비평가들은 이 영화를 2000년 이후 최고의 영화 32위로 선정했다.[23]
5. 2. 수상 내역
이 영화와 주연 배우들은 수많은 상을 받았다.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상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제79회 아카데미상 | 국제 장편 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제6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외국어 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세자르상 | 외국어 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유러피언 영화상 | 작품상 | 타인의 삶 | 수상 |
남우주연상 | 울리히 뮤에 | 수상 | |
각본상 | 플로리안 헨켈 폰 돈스마르크 | 수상 | |
독일 영화상 | 작품상 | 타인의 삶 | 수상 |
남우주연상 | 울리히 뮤에 | 수상 | |
남우조연상 | 울리히 터커 | 수상 | |
감독상 | 플로리안 헨켈 폰 돈스마르크 | 수상 | |
촬영상 | 타인의 삶 | 수상 | |
프로덕션 디자인상 | 타인의 삶 | 수상 | |
각본상 | 플로리안 헨켈 폰 돈스마르크 | 수상 | |
바이에른 영화상 | 남우주연상 | 울리히 뮤에 | 수상 |
신인 감독상 | 플로리안 헨켈 폰 돈스마르크 | 수상 | |
각본상 | 플로리안 헨켈 폰 돈스마르크 | 수상 | |
빌뉴스 국제 영화제 | 관객상 | 타인의 삶 | 수상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국제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국제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뮌헨 영화제 | 베른하르트 비키 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 관객상 | 타인의 삶 | 수상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 외국어 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영국 인디펜던트 영화상 | 외국어 영화상 | 타인의 삶 | 수상 |
'타인의 삶'은 2007년 최고의 영화 10편에 대한 많은 평론가들의 목록에도 올랐다.[25]
순위 | 평론가 | 매체 |
---|---|---|
1 | 제임스 베라디넬리 | 리얼뷰스 |
1 | 숀 레비 | 오레고니안 |
2 | 엠파이어 | |
2 | 마조리 바움가르텐 | 오스틴 크로니클 |
2 | 마이클 스라고우 | 볼티모어 선 |
2 | 리처드 코리스 | TIME 매거진 |
3 | 르네 로드리게스 | 마이애미 헤럴드 |
4 | 데이비드 앤슨 | 뉴스위크 |
4 | 스티븐 홀든 | 뉴욕 타임스 |
5 | 로저 이버트 | 시카고 선타임스 |
5 | 리처드 로에퍼 | 시카고 선타임스 |
5 | 리암 레이시와 릭 그린 | 글로브 앤드 메일 |
5 | 오웬 글레이버먼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7 | 크리스티 르미르 | AP 통신[26] |
7 | 타샤 로빈슨 | The A.V. Club |
8 | A.O. 스콧 | 뉴욕 타임스 (마이클 클레이튼과 공동) |
8 | 카일 스미스 | 뉴욕 포스트 |
6. 논란
(내용 없음)
6. 1. 명예훼손 소송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와 뮈에는 뮈에가 인터뷰에서 자신의 두 번째 부인인 제니 그뢸만이 동독 시민으로 지내던 결혼 6년 동안, 자신의 활동에 대해 슈타지에 알렸다고 주장하여 명예훼손 소송에서 승소했다.[41][42] 뮈에의 전 부인은 주장을 부인했지만, 254페이지에 달하는 정부 기록은 그녀의 활동을 상세히 기록했다.[43] 그러나 그뢸만의 실제 담당자는 나중에 자신이 파일의 많은 내용을 지어냈으며, 그 여배우는 자신이 슈타지 요원과 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다.[44]참조
[1]
웹사이트
"DAS LEBEN DER ANDEREN - THE LIVES OF OTHERS"
https://bbfc.co.uk/r[...]
2006-11-27
[2]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2007)
https://www.boxoffic[...]
2011-07-07
[3]
간행물
The Stasi on Our Minds
https://www.nybooks.[...]
2007-05-31
[4]
웹사이트
Director's Statement
http://www.sonyclass[...]
Sony
2007-08-17
[5]
웹사이트
Ein Oscar "aus" Heiligenkreuz
http://stift-heilige[...]
2019-12-02
[6]
뉴스
Tyranny of Terror
https://www.theguard[...]
2007-05-05
[7]
웹사이트
Ways of Seeing: Surveillance, Observation, and the Lives of Others
https://fashionxfilm[...]
[8]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9]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https://www.metacrit[...]
[10]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https://variety.com/[...]
Daily Variety
2006-06-11
[11]
기사
The 10 Best Movies
2007-12-24
[12]
간행물
The 10 Best Movies
https://content.time[...]
2007-12-09
[13]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https://www.rogerebe[...]
2007-09-21
[14]
뉴스
A Fugue for Good German Men
https://www.nytimes.[...]
2007-02-09
[15]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http://www.calendarl[...]
2006-12-01
[16]
웹사이트
Ulrich Muhe RIP
https://www.national[...]
National Review Online
2007-07-25
[17]
웹사이트
Great Lives
https://www.national[...]
National Review Online
2007-05-23
[18]
웹사이트
The Best Conservative Movies
https://www.national[...]
National Review Online
2009-02-23
[19]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https://www.austinch[...]
Austin Chronicle
2007-03-02
[20]
간행물
Movie Review: The Lives of Others (2007)
https://ew.com/artic[...]
2007-02-02
[21]
웹사이트
"Why Dictators Fear Artists" (2007)
https://www.firstthi[...]
First Things
2007-07-23
[22]
웹사이트
The ghosts are leaving the shadows
http://www.signandsi[...]
2006-03-29
[23]
웹사이트
The 21st century's 100 greatest films
http://www.bbc.com/c[...]
BBC
2016-08-23
[24]
뉴스
Warum ich meinen Namen aus "Das Leben der Anderen" löschen ließ
https://www.sueddeut[...]
2019-01-24
[25]
웹사이트
2007 Film Critic Top Ten List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08-01-05
[26]
웹사이트
"'No Country for Old Men' earns nod from AP critics"
http://www.columbiat[...]
2007-12-27
[27]
웹사이트
The self-perception of Europeans in comparison with the perception of other countries
http://www.goethe.de[...]
Goethe Institute
2019-06-07
[28]
웹사이트
EUROPE LIST: On the search for a European culture - National results
http://www.goethe.de[...]
2019-06-07
[29]
간행물
Weinsteins keep sight of Mirage
https://variety.com/[...]
2007-02-28
[30]
뉴스
Lives of Others set for Hollywood remake
https://www.theguard[...]
2007-03-01
[31]
뉴스
Anthony Minghella, Director, Dies at 54
http://www.nytimes.c[...]
2008-03-18
[32]
뉴스
Sydney Pollack, Film Director, Is Dead at 73
http://www.nytimes.c[...]
2008-05-27
[33]
뉴스
Veterans of Elite Israeli Unit Refuse Reserve Duty, Citing Treatment of Palestinians
https://www.nytimes.[...]
2014-09-12
[34]
웹사이트
"'Any Palestinian is exposed to monitoring by the Israeli Big Brother'"
https://www.theguard[...]
2014-09-12
[35]
웹사이트
European officials lash out at new NSA spying report
https://www.cbsnews.[...]
2013-06-30
[36]
뉴스
Daniel Ellsberg: Edward Snowden is a patriot
https://www.salon.co[...]
2019-06-07
[37]
뉴스
What should Edward 'I'm a brave martyr but I wanna go home' Snowden do now?
https://www.washingt[...]
2013-07-15
[38]
웹사이트
quote-sarfaraz
https://twitter.com/[...]
Sarfraz Manzoor
2013-08-18
[39]
웹사이트
Brad Thor- Lives of Others
https://twitter.com/[...]
Brad Thor
2013-08-18
[40]
간행물
How Snowden's Revelations Saved Sarkozy
http://www.newyorker[...]
2014-04-17
[41]
뉴스
Behind the Berlin Wall, Listening to Life
https://www.nytimes.[...]
2007-07-27
[42]
웹사이트
German film prompts open debate on Stasi: A forbidden topic captivates nation
https://www.boston.c[...]
2006-05-29
[43]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http://www.salon.com[...]
2007-08-17
[44]
뉴스
Ulrich Mühe Obituary
https://www.telegrap[...]
2012-11-30
[45]
서적
The Lives of Others
2011-06-01
[46]
서적
The Lives of Others
2022-03-24
[47]
서적
The Lives of Others
2022-03-24
[48]
웹인용
"DAS LEBEN DER ANDEREN - THE LIVES OF OTHERS"
http://www.bbfc.co.u[...]
2012-11-24
[49]
뉴스
Behind the Berlin Wall, Listening to Life
https://www.nytimes.[...]
2007-07-27
[50]
웹인용
The Lives of Others (2007)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07-10-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